또래관계 연구분야 최고 교수진 개발
김진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초등 교사 11년, 교육 및 학교 심리 전공
네덜란드 라드바우드대학교(Radboud University) Excellence Fellow
Shuffle to Learn LAB, 연구책임자
유주영
미국 Emory University 컴퓨터 공학 박사과정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데이터센터
Shuffle to Learn LAB, 부연구책임자 및 데이터 과학자
김근효
부산 백산 초등학교 교사
Shuffle to Learn LAB 연구원
김주현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석사과정
Shuffle to Learn LAB 연구원
이나현
성남 하원초등학교 교사
어울림 프로그램 연수강사
Shuffle to Learn LAB 자문위원
오아름
목포 부주초등학교 교사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육상담 및 심리전공 석사
어울림 프로그램 개발진 및 연수강사
Shuffle to Learn LAB 자문위원
㈜인싸이트 심리검사연구소
심리검사 도구 수, 회사 규모, 매출 1위 기업
심리학, 교육학, 의과대학 교수 등 200여 명으로 이루어진 권위 있는 연구개발진이 참여하여
지능, 성격, 진로, 학습, 치매, 신경심리검사 등 300여 종의 다양하고 신뢰로운 임상 진단도구를
병원, 전문기관, 상담 센터, 초중고, 대학 등에 보급
심리 전문가를 위한 맞춤형 도구와 솔루션
(주)인싸이트는 심리 전문가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구와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와 정밀한 분석을 기반으로 전문가들의 역량을 더욱 강화합니다.
표준화 심리검사
영유아부터 성인, 노인까지 전 생애를 대상으로 하는 지능, 학습, 진로, 성격, 적응행동, 발달, 신경심리, 언어, 투사 검사 등을 제공합니다.
심리검사 구매
상담 및 치료도구
상담 및 심리치료, 언어치료 및 교육훈련, 인지재활 등 다양한 임상, 상담, 집단활동에 필요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상담도구 구매
교육 · 워크숍
정신 병리, 상담 및 심리치료기법, 심리검사 도구 활용 등 심리학 전반의 실시간(ZOOM, 오프라인) 워크숍과 온라인 교육을 제공합니다.
교육 워크숍 자세히 보기
단체 심리검사
영유아, 초중고, 대학, 기업, 기관 대상 소속 구성원의 단체 검사의 실시 및 분석, 후속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단체심리검사 자세히보기
Shffle to Learn LAB 이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김진구 교수의 연구는 한 반 교실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경기도 성남의 작은 학급에서 아이들 간의 미묘한 관계를 관찰하며 시작된 탐구는,
이후 서울·경기·인천 같은 대도시 대규모 학급,
완도·금산 같은 농어촌 소규모 학교,
그리고 나아가 네덜란드, 핀란드 등 유럽 교실로까지 이어졌습니다.
보편성
학령기 또래관계의
구조적 특징은
세계 어디서나 존재
문화특수성
관계의 표현 방식,
갈등 처리, 연결의 의미는
문화적으로 다름
또래관계를 보는 두 가지 시선
스쿨프렌즈는 이러한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이해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김진구 교수는 유럽의 연구자들과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이를 정교화해 왔습니다.
-
국제적 연구 기반
- Radboud University (네델란드) & University of Turku (핀란드)
- 세계적인 또래관계 연구집단인 Radboud University의 Peer Relationship Lab에서 Postdoc
(Supervisor: Antonius Cillessen)
- 또래괴롭힘 예방을 주제로 University of Turku와 Linkoping University에서 Visiting Fellow로 활동
-
연구와 실천의 균형잡힌 연결
- 2022년도 미국 ISSP (International Society of School Psychology)의 국제연구 진행 :
또래공동체 의식을 촉진하는 자리배치 프로그램 타당화 연구 (ISSP Mentor: Jina Yoon at University of Arizona)
- Shuffle to Learn LAB운영: 한국교실의 또래관계를 연구하고, 교사들의 생활지도를 돕는 실천기반 연구 플랫폼
- 국제 저명 학술지에 또래관계 연구 출판
- Kim, J., & Cillessen, A. H. (2023). Peer community and teacher closeness as moderators of the association between peer status and aggression.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43(8), 1043-1070.
- Kim, J., & Cillessen, A. H. (2023). Prospective associations of prosocial behavior and aggression with social preference: Moderation by classroom levels of peer-perceived liking and disliking by the teacher.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47(5), 423-432.
- Kim, J., Sijtsema, J. J., Thornberg, R., Caravita, S. C., & Hong, J. S. (2024). Shaping citizenship in the classroom: peer influences on moral disengagement, social goals, and a sense of peer communit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53(3), 732-743.